분류 전체보기(171)
-
6F - CAMP G Library / 디테일하고 차별화 된 캠프지 프로그램
#1. B2B, 중소 IT 기업에 마케팅팀이 있는 경우가 많지 않죠. 에임투지는 2010년부터 별도의 마케팅팀을 운영해왔습니다. 일반적인 개별 영업활동, 관계를 통한 고객 유치도 중요하지만 마케팅 활동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영업활동을 추진함으로써 더 많이, 더 빠르게, 더 큰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대표이사의 의지, 그리고 보다 차별화된 서비스를 기획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이른 시점부터 마케팅팀이 운영되어 왔죠. 그리고 현재 마케팅팀은 에스티씨랩에 소속되어 자사 개발 솔루션과 서비스에 대한 제품 홍보를 우선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대내외에 에스티씨랩과 에임투지를 알리고 있습니다. 캠프지 블로그의 운영 역시 이러한 업무의 연장선상에서 에임투지와 에스티씨랩의 사업 영역과 비즈니스 활동을 알리고 개별 기업..
2021.11.12 -
3F - Cloud & DT / 디지털 비즈니스의 기반을 세우는 에임투지
#1. 에임투지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주요 기업의 디지털 서비스를 위해, 온프레미스(On-Premise) 또는 클라우드(Cloud) 니즈에 맞게 관련 인프라와 솔루션을 고객사에 직접 제안, 구축 및 기술지원하고 있습니다. HPE 공식 Platinum Partner로서 HPE 서버, 스토리지 등 IT 인프라와 기술서비스를 고객사에 직접 제공하고 있으며, 다수 고객사에 대한 기술지원과 장애이력 관리 노하우를 통해 표준화된 서비스 프로세스를 구축,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능형 하이퍼 컨버지드 인프라스트럭처(HCI) 플랫폼을 통해 복잡한 인프라를 빠르고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돕거나 비즈니스 민첩성과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모든 장소와 규모에 적합한 Private & Public 클라우드의 컨설팅,..
2021.11.12 -
STC-CORE - UX 컨설팅, 그리고 카테고리 운영안에 대하여
#. 고객은 우리 서비스를 만족하고 있을까요? 서비스 기획자, 운영자들은 어떤 고민을 하고 있을까요? UX(User Experience, 사용자 경험)란, 사용자가 어떤 시스템, 제품 서비스를 직, 간접적으로 이용하면서 느끼고 생각하게 되는 총체적 경험을 말한다. 단순히 기능이나 절차상의 만족뿐 아니라 전반적인 지각 가능한 모든 면에서 사용자가 참여, 사용, 관찰하고 상호 교감을 통해서 알 수 있는 가치있는 경험이다. 자사 서비스에 대한 UX, 즉 고객의 경험과 피드백은 비즈니스 향상을 위한 가장 중요한 데이터지만, 발빠른 조사와 분석 없이는 시장 트랜드에 빠르게 대응하지 못하고, 시의성이 떨어지는 데이터는 고객의 반응 역시 이끌어내지 못합니다. 에스티씨랩은 이러한 고민과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STC-..
2021.11.09 -
앱인사이터 - 제품 이해와 카테고리 운영안에 대하여
#. 앱인사이터 포커스 앱인사이터(AppInsghor)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뿐 아니라 Web, Mobile, Mobile App 등 다양한 환경에서의 최종 사용자 서비스 성능과 경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분석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및 최종 사용자 경험(성능, 행동) 관리' 솔루션입니다. 앱인사이터는 흔히 APM(Application Performance Management)으로 이해하는 WAS 모니터링 솔루션에 EUM(End-User Monitoring) 기능이 통합되어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합니다. 즉, 앱인사이터는 1) 고객 성능 분석, 2) 고객 행동 분석, 그리고 3) 비즈니스 관점 운영에 중점을 둔 서비스 모니터링 방안을 제시하고자 개발되었고, 끊임없는 고도화를 통해 계속 발전하고..
2021.11.08 -
넷퍼넬 - 개발철학과 로직, 카테고리 운영안에 대하여
#. 넷퍼넬 개발 철학 꽉 막힌 도로 위에서 운전을 한다고 생각해보세요. 어떻게 하면 모두가 빨리 원하는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을까요? 근본적인 해결책으로는, 도로를 넓히는 방법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2차선, 4차선, 8차선 도로가 아닌 128차선 도로를 달린다면, 웬만해서는 주변 차량을 신경쓰지 않고 최대 속도로 달려 빠르게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한정된 땅과 자원에 무한정 도로를 늘릴 수 없습니다. 이미 구축된 한정된 도로 위에서 고려해볼 수 있는 보다 현실적인 대안은 교통 흐름에 맞춰 가변차로제를 시행하는 것입니다. 차량이 몰리는 곳에 도로를 더 배정하고, 차량 흐름에 여유가 있는 곳은 줄여주면서 이동 상황에 맞춰 도로를 할당해주는 것입니다. 이는 디지털 서비스 환경에서도 ..
2021.11.08